2011. 3. 3. 16:59ㆍ나의 건강상식
일반 건강 상식 제8화 흡연은 왜 위험한가? 최근 들어 흡연율이 감소하고는 있지만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 담배를 피우게 되는가? 그 이유를 알아보자. 청소년이 담배를 피우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는 부모, 형제 또는 친구들이 담배를 피우는데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로는 담배에 대한 과대선전과 담배를 청소년이 쉽게 살 수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흡연자들의 흡연동기로는 사교, 긴장완화, 쾌락, 호기심, 자신감 등이 있다. 또한 일단 담배를 피우면 니코틴에 대한 습관성이 생기므로 금연을 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도 큰 이유의 하나이다. 흡연은 백해무익하다고 한다. 왜 그럴까? 담배의 연기 속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담배의 연기성분은 어떤 것인가 알아보기로 한다. 담배연기 속에는 약 4,000여종의 유해물질이 들어있다. 그 중 중요한 유해성분으로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아크롤레인, 크레졸, 시안화수소산, 석탄산 등이다. 1) 니코틴(Nicotine) 담배의 주성분으로 소량은 자율신경에 흥분효과를 나타내나 대량은 억제(마비)를 일으킨다. 중추신경에 흥분 작용이 있으며 소화기계에도 소량은 위장운동을 증가시키나 대량은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니코틴 중독은 오심, 구토, 타액분비 항진 등이 나타나고 점차 마비상태가 되며 결국 호흡마비를 일으킨다. 금단증상은 구토, 두통, 변비, 설사, 불안감, 초조감, 우울증, 불면증, 주의력 감퇴 등 증상이 나타난다. 2) 타르(Tar) 검은색의 끈끈한 발암성물질로 호흡기 점막의 섬모상피세포와 폐포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비정상적인 암세포가 나타난다. 타르 함량은 담배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한 개비에 2 ~ 3mg이 들어있다. 3)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는 혈색소(헤모글로빈)와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200배 강하여 폐포에서 산소의 가스교환을 방해하며 조직에 필요한 산소공급이 감소된다. 장기적인 흡연이 사망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흡연과 사망률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파리에서 열린 제9차 담배와 건강에 관한 세계회의에서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의학적 연구가 시작된 이래 최대인원을 대상으로 최장시간에 걸쳐 진행된 조사결과가 발표되었다. 흡연자의 담배로 인한 사망률은 일반적으로 생각해온 것보다 2배 이상 심각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질병, 자살 등을 포함한 54종의 사망원인 가운데 흡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질병이 25가지나 되며 그중 17종이 암이다. 이러한 암에 걸릴 확률은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무려 14배나 높다. 폐암은 무려 17배, 기관지암과 식도암은 15배씩 발병률이 높으며, 직장암도 4배나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높다. 협심증, 심근경색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과 부정맥, 심부전증 같은 심장질환도 흡연자가 10배나 높으며 흡연과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 위궤양, 간경변증도 각각 3배, 5배씩 흡연자의 발병률이 높다. 통상 성인이 된 후 흡연기간을 35년 정도로 계산했을 때 흡연자의 사망률이 비흡연자보다 2배 이상 높으며 평균 7년 일찍 죽게 된다. 순한 담배를 피우는 사람과 독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사망률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45 ~ 65세 사이에 금연을 할 경우,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을 대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약물중독의 경우도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4배가 많으며 자살자 수도 흡연자가 3배나 많아 흡연이 심리적으로 안정 효과를 준다는 속설과는 정반대의 결과이다. 다음으로 흡연과 임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로 하자. 임신 중 흡연을 하면 태아발육이 저해되어 출생아의 체중이 평균 150 ~ 240g이 적고 출생 시 체중 2.5kg 이하인 미숙아를 출산하는 경우가 비흡연자보다 2 ~ 3배 더 많다. 그 밖에도 흡연으로 인한 유산, 사산율이 높아진다.
'나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아그라는 정력제일까? (0) | 2011.03.03 |
---|---|
임신부는 어떤 약도 복용해서는 안 되는가? (0) | 2011.03.03 |
간접흡연의 영향에 대하여 (0) | 2011.03.03 |
알코올중독증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하여 (0) | 2011.03.03 |
알코올중독증의 자가진단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0) | 201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