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1. 8. 13:27ㆍ화석·청천리님 방
'발상 전환의 아이콘' '햅틱 이론' 주창 ...하라 켄야(2)
2009.07.20 06:08 | 님들과의 대화방 | 화석
"디자인은 오감(五感)이다 ...소비자의 군침을 돌게 하라" (2)
“ 배가 나온다고 벨트에 구멍을 뚫으면 몸은 더 뚱뚱해져요. 벨트도 구멍이 숭숭 뚫려 보기 싫어지고요. 긴장을 주는 디자인이 좋죠. 내 배는 이미 나왔지만.....” 그런 햅틱 이론의 주창자인 그의 대답은 뜻밖에도 "(삼성전자의 햅틱폰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는 것이었다. 마침 기자가 갖고 있던 햅틱폰을 건넸다. 그런데도 첫 반응은 심드렁했다. "(애플의) 아이폰 비슷하네…." 그러던 그가 진동 터치를 요리조리 누르고, 햅틱의 야심작인 '주사위 게임'에 도달했을 때 작은 탄성을 내뱉었다. "와, 이거 갖고 싶은데요. 인터랙션(interaction)이 꽤 훌륭해요. 소니가 분발해야겠는데…." (그는 소니가 분발해야겠다는 말을 뒤에도 여러 번 반복했다.) <왜가리... 강화도님 2009. 07. 18 강화도에서> ★ 백로 / 왜가리의 차이 백로는 이름 그대로 하얀색이고 왜가리는 외형적으로 백로와 닮았지만 색깔이 회색. 붉은 목을 가진 붉은 왜가리도 있음. 왜가리 [gray heron] 황새목 왜가리과의 조류. 눈에서 뒷머리까지 이어져 댕기깃을 이루며 다리와 부리는 계절에 따라 노란색 또는 분홍색. 한국에서 흔한 여름새로 번식이 끝난 일부 무리는 중남부 지방에서 겨울을 나기도 하는 텃새. 못·습지·논·개울·강·하구 등지의 물가에서 단독 또는 2∼3마리씩 작은 무리를 지어 행동한다. 날 때는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다리는 꽁지 바깥쪽 뒤로 뻗는다. 이동할 때는 밤에도 난다.
< 메꽃... 강화도님 2007. 09. 10 > ★ 메꽃과 나팔꽃의 차이점 1.나팔꽃은 보라색꽃과 붉은색꽃이지만 메꽃은 분홍색. 2.나팔꽃잎은 둥근 심장모양. 메꽃잎은 타원상 마소꼴. 양쪽밑에 귀같은 돌기가 있음. 3.나팔꽃은 씨로 번식하지만, 메꽃은 씨를 맺지 못하므로 땅속줄기로 번식을 한다. < 애기 메꽃... 한의학에서는 메꽃과 애기메꽃을 구구앙(狗狗秧) 또는 선화(旋花)라고 부르며 꽃핀 모습만 봐서는 둘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지만 애기메꽃은 꽃받침 바로 아래 부분에 얇은 날개같은 막질의 구조가 달려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음. 메꽃 [旋花]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덩굴식물. (꽃말... 충성) 학명 Calystegia japonica 분류 메꽃과 분포지역 한국·중국·일본 서식장소 들 하얀 뿌리줄기가 왕성하게 자라면서 군데군데에 덩굴성 줄기가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
아래 조건 만족 시 사용가능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사용
- 변경 금지

'화석·청천리님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상 전환의 아이콘' '햅틱 이론' 주창 ...하라 켄야(5) (0) | 2011.11.08 |
---|---|
'발상 전환의 아이콘' '햅틱 이론' 주창 ...하라 켄야(3) (0) | 2011.11.08 |
'발상 전환의 아이콘' '햅틱 이론' 주창 ...하라 켄야(1) (0) | 2011.11.08 |
위트 넘치는 칼럼...팀 하포드 '경제학 콘서트'(끝) (0) | 2011.11.08 |
위트 넘치는 칼럼...팀 하포드 '경제학 콘서트'(20) (0) | 201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