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춘란 화예품과 엽예품

2011. 3. 9. 20:46나의 난관리

 

 

 

 

 

                                        한국춘란 화예품과 엽예품

 

 


                       화예품(花藝品)





                                       소심(素心)

                                         





 혀에서 볼속 깊숙이까지 반점이 전혀 없는 것을 소심(素心), 설판이 설백색으로 흰 것을 백태소(白胎素), 담황색인것은 황태소(黃胎素), 담록색인것은 녹태소(綠胎素), 안쪽 깊숙이 반점이 있는 것을 준소심(準素心)이라 부른다.

또한 혀와 볼의 안쪽에 도색(桃色)을 띠고 있는 도시소(挑?素), 혀 전면에 바늘로 찔러 놓은 것 같은 느낌이 있는 것은 자모소(刺毛素), 혀 전면이 홍색인 것은 주사소(?砂素)라 한다.






 

                                            
 

                                                            황화(黃花) 



                                       




 황화(黃花)는 황록에서부터 개나리나 유채꽃처럼 샛노란 황색까지를 보통 황화라고 하는데, 선발색(先潑色)보다는 후발색(後潑色)에서 명화가 많이 나온다.

 연록색 잎이나 서성(曙性)의 잎을 가진 춘란(春蘭)에서 황화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그것보다는 녹색의 잎에서 황화가 피어야만 품격이 한층 더 높다.

 꽃이 필때는 황록색으로 보이나 시간이 가면 갈수록 극황(極黃)으로 변하는 것이 좋은 품종이다.

 물론 꽃잎에 적색이나 적자색의 화근(花筋)이 기부(基部) 쪽에 많이 들어있으면 관상 가치가 떨어지고 화경도 가늘고 잡색이 없는 것이 좋다.

 

                    

                                                 주금화(朱金花) 




        
                                    






 적화(赤花)라고 말하기에는 붉은 기가 부족하고, 황화(黃花)라고 말하기에는 적(赤)기운이 좀 강한 느낌을 모두 보완할 수 있는 선등색(鮮燈色) 또는 황등색(黃橙色)에 가까운 색을 주금색(朱金色)이라고 말한다.

 춘란계에서 부르고 있는 이 색상은 다른 원예품종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표현이다.

 주금화는 카로티노이드와 프라보놀(Flavonnol), 프라본(Flavone)의 합성에 의한 화색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황화에 소량의 시나이딘(Cyanidin)이 겹쳐진 화색이다.

 


                            




                                                       적화(赤花) 

     



                                     





 춘란 가운데 적화(赤花)계열은 가장 품종이 많을뿐더러 소위 화예품(花藝品)이라고 하는 품종의 주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꽃에 붉은 색이 있는 것을 통틀어서 적화라고 부르고 있다. 춘란 화색으로서 적(赤)은 취미인들의 수준에서 상식적으로 적(赤) 또는 그것에 가깝다고 느끼는 색의 총칭이지만, 엄밀한 색상면으로서의 적(赤)은 아니다. 화색은 잡색없이 선명하게 발색(發色)하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색상의 농담에 따라 적홍화, 홍적화, 주홍화, 선등화(鮮燈花). 황등화(黃燈花) 등으로 구별한다.






                            자화(紫花) 
               



                                     




 자화(紫花)는 자홍색에서부터 흑자색까지를 말하며 꽃잎 내부에 존재하는 녹색과 표피세포 가까이 있는 적색의 혼합이다.

 자화는 유전성이 강하지 않으며 좋은 색상의 꽃을 피우지 않으므로 강렬한 자색으로 발색하기가 어렵다.

 일본춘란 자천룡(紫天龍)이나 자보(紫寶) 등 우수한 명품들도 세월이 갈수록 화육의 녹을 거의 노출할 정도이기 때문에, 아부리 농자색(濃紫色)으로 피운 산채품이라 할지라도 대부분은 발색이 불안정하거나 불균일하고, 환경조건의 변화 때문인지 두 번 다시는 본래의 화색으로 회복되지 않고 꽃이
지는 것도
많다.

                     
                                                      복색화(複色花) 




                                        






 녹색이 본색인 난꽃은 다양한 색상이 발견되어 화예품(花藝品)의 주류를 이루는데, 기본색과 무늬색 이외에 여러 가지 색이 혼합되어 나타나게 되면 복색화(複色花)가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색에는 적색이나 주금색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백색이나 황색계열이 나타났을 때는 복색화로 보지 않는다.

 또한 적색의 테두리를 두르면 복색화가 되지만 백색이나 황색의 테두리를 두르면 복륜화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색이 안쪽으로 들 경우도 복색화가 되지만 백색이나 황색이 안쪽으로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꽃은 호화나 중투화가 된다.


 

                                                  엽예품(葉藝品)






                                                          복륜(覆輪)   

      



                                      



    



 잎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두르듯 백, 백황, 황색이 선상(線狀)으로 나타나며, 잎 끝에 1/3정도만 적게 두른 것을 조(爪)라고 한다. 잎 끝에서 기부까지 전체적으로 가느다랗게 든 것을 사복륜(絲覆輪), 두껍게 들면 대복륜(大覆輪) 또는 심복륜이라 부른다. 

 또한 색상에 따라 백복륜(白覆輪),황복륜(黃覆輪)으로 나누며, 새촉에는 무늬가 들었다가 나중에 없어지는 것을 소멸성복륜(消滅性覆輪)이라 부른다.

 

                         

                             중투(中透)



                                  


 

 일반적으로 입끝부분 혹은 잎가장자리 둘레에 녹색을 남기고 잎가운데 부분이 백색 또는 황색으로 보이는 선상(線狀)무늬를 총칭한다.

 호(縞)의 종류는 중투(中透), 중투호(中透縞), 중압호(中押縞), 복륜호(覆輪鎬), 축입호(祝?鎬), 편호(片鎬), 운정호(雲?鎬),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잎끝에 녹색의 축입이 깊게 들어간 것을 모자(帽子)라고 부르며, 농록색(濃綠色)의 축입이 깊게 들어갈수록 관상가치가 높은 품종으로 중압호가 이런 종류들이다

 


 

                    

                           호반(虎班) 




                                   




 잎에 백색, 황색, 백황색의 무늬가 마디어져 여기저기 떠있는 형태로 호랑이의 무늬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무늬가 바탕색인 녹색과의 경계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절반(切斑)과 무늬의 경계가 흐릿하고 불규칙한 도호반(圖虎斑)으로 대별되며 윤기가 있는데다 절반이 확실하고 황색이 진할수록 관상가치가 높다.
 춘란 최대의 매력을 발휘하는 것이 호반의 무늬라고 할 만큼 난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특징을 보인다.

                                

                                                           사피(蛇皮) 



                                          


 

 녹색의 작은 점들이 불규칙하게 잎전체에 흩뿌려진 형태로 나타나는 무늬다. 잎에 나타나는 형태에 따라 무늬가 잎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전면사피(全面蛇皮), 불규칙한 형태의 산반사피(散斑蛇皮),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타나는 단절사피(段切蛇皮)로 구별한다. 잎은 넓고 두터우며 백, 황, 백황 등의 무늬에 진한 녹색점이 있으며 윤기가 있는 것이 관상가치가 높으며 선천성이 좋다

 

                                                       단엽종(短葉種) 




                                         




 단소성(短小性)을 특징으로 하는 단엽종(短葉種)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난잎보다는 짧고 두터운 난을 말하는데 단엽에서도 무광택의 라사지(羅紗地)여야 관상가치가 높다.

 라사지란 거칠거칠한 잎을 말하는데 단엽종에서 후육에 잎끝이 둥근 환엽(丸葉)이 되면서 라사지가 들었을 때 가장 전형적인 단엽이라 할 수 있으며 오랜 세월동안 불리한 여건의 극복한 결과이기 때문에 그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라사지가 들지 않았다고 해도 단엽종에서는 잎의 크기가 조화를 이루는 매판형의 작고 앙증맞은 꽃도 기대할 수 있으며 두화보다 더 작은 꽃과 잎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품종도 발견되고 있다.

............................
이 글은 박병석님 방에서 스크랩하여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여러 포스트들을 연결해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