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재배환경

2011. 3. 11. 13:06나의 난관리

 

'나의 난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배환경

난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생지의 환경을 복원하는데 있다.
자생지의 환경과 가장 가깝도록 난을 기르는 것이 난 배양의 첫번째 조건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몇 가지 사항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자.

난 관리에서 중요시되는 분야
온도와 일조량, 통풍, 습도, 물주기, 비료주기, 화분갈이, 병해충 방제
등이라 할 수 있다.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이 시원하며 일년을 통해 통풍이 잘 이루어지는 환경을 일반적으로 좋은 환경이라고 한다. 봄과 가을의 생육기간 중에는 오전 중 채광을 충분하게 하고 여름은 햇빛을 차광하고 겨울은 차가운 바람에 맞지 않도록 하는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위의 창은 개폐가 충분하게 만들거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한랭사나 발등이 필요하게 된다. 재배 높이는 지표에서 60~80cm가 이상적이고 금망이나 판을 연장시켜 그 위에 분걸이대를 놓아 분을 올려둔다. 혹은 파이프 등을 분의 테두리가 걸릴 정도로 나열해서 그사이에 분을 진열하도록 걸어 두어도 좋고 되도록이면 분 구멍에서 통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도와 일조

  성장기인 봄에서 가을까지는 반드시 적당한 일조량을 유지해야하며 하루중 석양보다는 오전에 떠오르는 햇빛이 난에게는 좋다. 과하면 잎이타고 누렇게 변색되지만 부족하면 잎이 연약해져 가늘어지고 꽃이피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를 입기 쉽다.

 통풍
  잎이 살랑살랑 움직일 정도의 바람이 난에게는 좋고 통풍이 않되는 환경에서는 병해충 발생 확율이 높으며 고온다습한 장마철에는 일정시간 선풍기를 눕혀서 틀어 난실을 환기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습도
  난이 좋아하는 습도는 70~80%정도 이며 너무 습해도 않좋지만 지나치게 건조하면 관상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습도가 너무 높으면 병에 걸릴 확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신아가 출아하는 건조한 봄에는 스프레이로 안개분무하여 습도를 보충해 주어야 아름답게 자란다.

 
  춘란을 비롯해서 동양란분을 일반적으로 깊은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뿌리가 길고 통기를 좋아하며 다습을 싫어함에 따른 것이다. 배양토 배양토의 기본은 물빠짐이 좋고 보습성도 좋은 것이 좋다. 가벼우면 너무 쉽게 부서지고 분구멍이 쉽게 막히는 원인이 된다.단 지나치게 단단한것도 뿌리를 상하게 한다. 각 특성별로 배양토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채에 걸러서 대, 중, 소로 분리하여 사용하는데 재배환경이나 분에 따라서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다 분에 넣을 때는 가장 아래에 가장 큰것을, 차츰 위로 갈수록 작은 것을 넣어가는 것이 기본이다.

 난실(蘭室)
 

처음에는 한두 분으로 시작한 난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그 수가 늘어난다. 늘어나는 난을 그냥 늘어놓고 배양하는 것은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사실 그 관리 자체가 용이하지 않다. 이때에 난실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베란다에 난실을 만드는 애란인들이 많다. 옥상에다 만들기도 하고, 공간이 허락한다면 지상에서 만들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든 난실이란 난의 관리에서 중요시되는 온도, 통풍, 습도 등의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가급적 난이 요구하는 환경에 맞추어주기 위한 시발점이 바로 난실이 된다. 난실에 난대(蘭臺)를 설치할 때는 가급적 1단으로 짓는 것이 좋으며, 보통 지상에서 60cm 정도 떨어지게 짓는 것이 좋다.

 
난실의 종류

베란다 난실 : 아파트나 연립주택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마땅히 난실을 지을 공간이 없는 곳이다. 그러나 베란다란 공간은 난실로 더없이 좋은 장소이다. 사실 단독주택이라도 웬만한 크기가 아니면 따로 난실을 지을 공간이 없기 마련인데, 베란다가 있는 아파트나 연립주택이 오히려 난실을 만드는데는 더없이 좋은 것이다. 베란다의 크기에 맞추어 활용할 공간에 난대를 만든다. 가급적 1단으로 짓는 것이 배양에 좋지만, 공간의 활용상 2단에서 3단까지도 무방하다. 난대를 만들 때는 채울 난의 수도 중요하지만, 물을 주기에 편해야 하며 다른 생활에 피해가 없도록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할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베란다는 동향(東向)에 위치한 베란다이다. 햇빛이 오전에만 들고 오후에는 진작에 빠져나가기 때문에 별도로 발 등을 칠 필요가 없다. 저절로 햇빛관리가 된다는 뜻이다. 동향이 아니라면 갈대발 등을 이용하여 한낮의 직사광선을 쪼이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특히 오전의 햇빛은 전혀 들지 않고 난에 해로운 석양빛이 잔뜩 들어오는 서향(西向)에 위치한 베란다라면 난실로는 가장 부적격한 곳이라 하겠다.

지상식 난실 : 땅 위에다 지은 난실이다. 지하식이나 반지하식 등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지을 수 있고, 출입하기 쉽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겨울철의 보온관리에 신경을 많이 기울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햇빛을 좋아하는 난에 유리하고, 습도를 좋아하는 난에는 부적당한 곳이 바로 이 지상식 난실이다. 즉 햇빛관리가 용이한 반면 습도관리가 어려운 곳이라는 얘기다.

지하식 난실 : 지붕만 지상으로 나와 있고 난대 자체는 지하에 놓인다. 햇빛을 받기 어렵고 과습해지기 쉬우며, 통풍 등에 신경을 많이 기울여야 한다. 단점은 많고 장점이 적어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짓는다고 하겠다.

반지하식 난실 : 기초부분만이 땅 속으로 들어가 있는 난실로, 난실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보온보습(保溫保習)이 좋은 점은 지상식 난실의 결점을 해소한 것이요, 햇빛이나 통풍관리라 용이하다는 것은 지하식 난실의 결점을 해소한 것이다. 장소만 가능하고 좀더 비용을 들일 수 있다면 권하고픈 난실이 바로 이 반지하식 난실이다.

양쪽지붕식 온실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지붕이 좌우로 균형을 맞추고 있는 난실이다. 햇빛을 균형적으로 충분히 받을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한여름에는 충분히 차광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한쪽지붕식 온실 : 기존의 건물이나 담장 등에 붙여서 지을 때 나타나는 형태로, 지붕이 한쪽으로만 나있는 형태이다.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이 장점이나 햇빛을 한쪽으로만 받기 때문에 가끔 가다 분의 방향을 바꿀 필요성이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난은 지향성(指向性) 식물이라 한쪽으로만 햇빛을 받을 경우 자라는 방향으로 쏠리는 경향을 보여 관상미를 크게 해치게 된다.

소형온실 : 난실을 짓기는 과하고 그냥 배양하자니 난분의 수가 많을 때, 특정한 난들만을 따로 배양하고 싶을 때는 굳이 난실을 짓지 않고 실내소형온실을 만드는 것이 좋다. 이 소형온실은 특히 세력이 약해진 난들의 특별관리처로, 벌브틔우기의 특별배양실로 유용하게 이용되기도 한다.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설치하는데, 밀폐된 공간에 햇빛이 잘 비치니 지나친 온도의 상승에 신경을 써야 한다. 원활한 통풍을 위한 환풍기는 필수가 된다. 밑에는 물받이를 설치하여 습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해준다.

 

 

 배양토(培養土)

 

배양토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종류마다 장단점을 갖고 있다. 하나의 배양토로는 난에 적합한 환경을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주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고 있으므로, 초보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혼합토를 사용하면 무난하다. 흔히 자생지의 부엽토(腐葉土)를 가져다 심으면 좋지 않겠느냐는 생각들을 많이 하게 되지만 부엽토의 경우 자칫하면 과습을 불러오고 뿌리의 호흡작용을 방해해 뿌리를 썩게 하기 쉽다. 또한 통기성이 부족하고 부엽토 자체가 썩으며 발생되는 유독가스로 세균에 의한 발병을 할 수도 있으므로 초보자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

좋은 배양토란 보수력(保水力)이 좋아 물을 잘 흡수해야 되는 반면 배수성(排水性)과 통기성(通氣性)이 좋아 쉽게 건조해야 한다. 쉽게 부서지면 좋지 않고 그렇다고 지나치게 단단하거나 모가 난 것도 좋지 않다. 산도(酸度)는 pH5.5~6.0정도 되는 것이 좋다. 한 종류의 배양토는 이러한 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주로 혼합토를 사용하는 이유이다.

 

 
배양토의 종류

마사(磨砂) : 화강암의 풍화에 의한 부식토로서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그만큼 가격도 저렴하다.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반면 단단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뿌리의 굴곡이 심해질 수 있으며 보수력이 약해 뿌리가 가늘게 자란다. 또한 배수성은 지나치게 좋아 약한 보수력에 더해져 너무 쉽게 건조한다는 단점도 있으며, 보비력(保肥力)도 좋지 않다. 일향토나 녹소토와 혼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일향토(日向土)
: 수입배양토이다. 가볍고 통기성이 좋으며 물빠짐도 좋은데, 흡수력이 약하며 너무 가벼워 물에 뜨는 결점이 있다. 표면이 둥그스름하여 뿌리 뻗음은 좋은 편이다. 한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양토로, 마사와 섞어 쓰면 좋다.


제오라이트(Zeolite)
: 알루미늄, 철, 마그네슘, 인산 등 여러 가지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온조절 작용으로 토양의 산성을 중화시키며 산소를 발생시켜 뿌리썩음을 방지하는 장점도 갖고 있다. 보수성과 통기성이 좋아 물주기가 편하고 뿌리의 활착이 양호하며 뿌리와 벌브가 건실하게 자라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주기도 한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할 때는 오염물질이 기공을 막기 쉬운 단점이 있으므로 역시 다른 배양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주경석(濟州輕石) : 이름 그대로 제주도에서만 난다. 제주도의 화산석으로 다공질(多孔質)의 적색토양인데, 보수력이 강한 반면 배수력이 약해 마사와는 반대로 너무 과습할 우려가 있는 배양토이다. 가볍지만 단단하며 날카로운 모를 지녀 뿌리를 상하게 할 수도 있다. 물이 잘 빠지면서 가벼운 배양토와 혼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제주경석은 제주도의 화산석인 만큼 채집이 어려운데, 일명 '송이'로 불린다.

적옥토(赤玉土) : 경남 남해에서 채취된다. 흡수성과 보수성이 뛰어난 배양토로 입자가 부드러워 뿌리성에 무리가 없는 배양토라 하겠다. 또한 퇴적층에서 나오기 때문에 다량의 유기질(有機質)을 갖고 있기도 하다.

천연인회석(天然燐灰石) : 태안반도 부근에서 채취된다. 동식물성 미생물이 유기화 과정을 거치면서 수만년 동안 풍화 퇴적되어 생성된 배양토로 풍부한 미량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매우 무겁고 모서리는 날카로우므로 역시 다른 배양토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온토(ion土)
: 수분흡수능력이 60% 이상 되는 해조류 화석이다. 산소공급을 충분히 하고 악취도 제거하며 근부병도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하이드로볼
: 황토를 주원료로 하여 1,000도 이상에서 고온살균처리한 인공배양토이다. 통기성과 흡수성, 보수성이 양호하고 다공질(多孔質)이며 약산성(pH5.6)이라 매우 배양토로는 매우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강한 햇빛에 쉽게 마르며 물을 자주 줄 경우 과습해질 우려가 있고 매우 단단하다. 마사나 일향토를 혼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녹소토(鹿沼土)
: 수입배양토이다. 다공질의 가벼운 배양토로 보습력과 보수력이 좋아 잘 마르지 않는 특성이 있다. 물을 주면 부서지기 쉽고 물에 잘 뜨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보비력이 특히 뛰어나 단일 배양토로는 가장 우수한 보비력을 자랑한다. 뿌리를 굵게 뻗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많이 사용되는 배양토이다.

크레이볼 : 20여년 전부터 일본에서 춘란 재배에 널리 사용되어온 배양토이다. 황토를 고온처리하여 가공한 적갈색 인공배양토로, 통기성이 매우 좋다.


바이오 세라톤
: 규조토(硅藻土)를 주원료로 맥반석, 제오라이트 등을 혼합, 1,000도에서 구워낸, 일반 배양토의 단점을 많이 보완한 배양토라 할 수 있다. 산도는 5.6~6.2정도로 특히 대립과 중립, 소립에 따라 각각 무게 등에 차이를 둬 보수력과 보습력에 차이를 두고 있다.

혼합토(混合土) : 단일 배양토의 단점들을 보완, 장점들을 규합하여 만든 혼합토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한 가지의 예를 들자면 일향토 35%, 하이드로볼 35%, 마사 15%, 녹소토 15% 정도로 혼합하여 소립과 중립, 대립은 물론 화장토까지 판매된다.


 

 

 난의 휴면 방법
: 난은 휴면해야 다음해에 튼튼한 새싹 및 꽃을 볼 수 가 있다.

- 난은 봄에서 가을까지 성장하고 겨울에 휴면을 취한다.
- 12월에서 2월초까지 온도를 5도 내외로 유지해야 한다.
- 11월에서 2월초 까지는 비료를 주지 않도록 한다.
- 물은 죽지 않을 정도로만 준다.(휴면시 2~3주에 1회정도)

 

 

가을철 난관리 요령  (0) 2011.03.11
난실  (0) 2011.03.11
춘란 주제별 정보  (0) 2011.03.11
월별 춘란 배양법  (0) 2011.03.11
월별 춘란관리  (0) 201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