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3. 20:09ㆍ나의 건강상식
우리 님들 녹차 좋아하시나요?
우리의 식생활도 많이 서구화되어 마시는 차도 커피를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과거에 커피를 많이 마셨는데 위장이 나빠져 지금은 거의 안 마시고 있지요. 우연히 보성 녹차밭에 가서 우리의 전통차를 마셔보았는데 녹차향이 너무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녹차에 대해서 약간 알아보게 되었네요.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만 해보시기 바랍니다.
차(Tea)
- 우리나라 보성에 있는 녹차밭입니다. -
차나무는 덥고 강우량이 많은 동남아시아에서 자라는 식물로 잎을 따서 그대로, 또는 발효시켜 차로 만든다. 신라시대 때 중국을 통해 들어온 차는 신라 말과 고려시대에 차 문화의 전성기를 이루다가 이조시대에 와서 일시적인 쇠퇴기를 맞았다. 그러나 지금은 기호음료로써 뿐만 아니라 건강음료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차의 분류
찻잎의 발효 유무에 따라 녹차(Green tea), 홍차(Black tea), 우롱차(Oolong tea)로 나눈다.
1. 녹차
찻잎을 건조시키기 전에 증기로 쪄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후 만든 것으로 녹색을 띤다. 비발효 차인 녹차는 중국의 북부지방과 일본, 우리나라, 월남 등에서 생산되고 있다.
2. 홍차
찻잎을 일정기간 발효시켜서 만든다. 자체 내의 효소에 의해 발효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색, 맛, 향이 부여된다.
3. 우롱차
발효과정을 홍차의 반 정도로 해서 만든 것으로 색은 홍차의 붉은색에 가깝고 향기는 녹차에 가깝다. 우롱차는 중국의 관동지방과 대만에서 생산되고 있다.
차의 성분
차의 성분은 차나무의 품종, 재배조건, 찻잎의 채취시기, 토질, 기후, 차나무의 나이, 보관방법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차의 어린 가지 잎의 성분 중 75 ~ 80%가 수분이고, 나머지가 폴리페놀화합물, 카페인, 아미노산, 엽록소, 카로티노이드, 탄수화물, 유기산, 휘발성 화합물, 무기염류(망간, 불소) 등이다.
- 녹차나무에 핀 꽃입니다.-
차의 생리활성
1. 항암작용
1981년 일본 국립 유전학 연구소에서 녹차의 돌연변이 인자에 대한 항돌연변이 원성이 강하다는 보고를 한 이후, 차의 항암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는 찻잎 성분인 탄닌이 발암성을 갖는 불안정한 라디칼(radical)과 결합함으로 항암효과를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탄닌 성분 이외에도 엽록소나 섬유소 등도 항암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들에 대한 강한 결합력은 노화 억제효과와도 관계가 있다.
2. 고혈압 및 동맥경화 예방효과
찻잎 중에는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추어 주는데 유효한 카테친(catechin), 비타민 C, 엽록소 등의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당뇨병과 억제효과
찻잎 중의 혈당저하 효과 물질은 일본 도야마 의대 약학과 팀에 의해 분자량이 4만 가량인 다당류로 밝혀졌다. 이는 평균 혈당치가 200mg/dl이 넘는 당뇨병 발병 실험동물의 혈당을 90mg/dl까지 저하시킬 정도의 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현재 이 유효성분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4. 해독작용
찻잎 성분인 탄닌류의 일종인 에피갈로카테친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등의 카테친은 수은, 카드늄, 크롬, 납, 구리 등의 중금속들에 대해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어 체내에서 결합물을 형성하여 배설을 유도함으로 중금속의 해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탄닌 성분은 니코틴과 쉽게 결합하여 배설을 유도함으로 항니코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차 중의 비타민 C 파괴를 막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5. 충치예방 및 구취제거 효과
찻잎이 함유하고 있는 불소 성분은 구강 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탄닌 성분 또한 충치 원인 균주에 대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치아보호 효과가 있다.
6. 항염성 및 항균성 효과
녹차 같은 비발효성 차에 그 함량이 많은 탄닌 성분은 항염효과가 높음은 물론 바이러스나 병원성 세균의 단백질과 작용하여 세균을 억제한다. 그리고 찻잎이나 종자의 사포닌 성분도 염증 발생 시에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정상화시킴으로 항염성 작용을 나타낸다.
7. 변비 개선
탄닌은 위의 긴장성을 높여 위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장관의 긴장성을 풀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노인에게 많은 이완성 변비보다는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신경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8. 천식에 대한 효과
찻잎 중 1 ~ 4% 가량의 카페인은 기관지 수축을 억제하며, 같은 알칼로이드계 성분인 테오필린(theophyline)은 카페인과 같은 정도로 기관지 확장 효과가 있어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9. 기타
차에도 카페인이 들어있어 앞에서 이미 말한 바와 같은 카페인의 효과인 숙취 제거, 피로 회복, 천식치료, 강심, 이뇨 작용 및 각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함유된 비타민에 의한 효능들도 기대할 수 있다. 홍차에는 비타민 E와 비타민 K가 풍부하고 녹차에는 비타민 C가 많다.
(출처: 식생활과 건강 참조)
(참고문헌)
1. 원강희: 우리 차 우리 술, 정훈출판사, 1993.
2. 유태종: 차와 건강, 도서출판 둥지, 1988.
'나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이 빠진다고 좋아하진 마세요. (0) | 2011.03.03 |
---|---|
음주 시 조심해야 할 약물들은? (0) | 2011.03.03 |
햇볕에 타서 화상을 입었는데 어찌 해야 하나? (0) | 2011.03.03 |
스트레스에 대하여(1) (0) | 2011.03.03 |
분만예정일을 아는 방법은? (0) | 201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