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계(界)의 여제(女帝)... 미우치아 프라다 (3)

2011. 11. 7. 15:32화석·청천리님 방

 

디자인계(界)의 여제(女帝)... 미우치아 프라다 (3)

2009.06.03 08:09 | 님들과의 대화방 | 화석

http://kr.blog.yahoo.com/goran5006/1110 

디자인계(界)의 여제(女帝)... 미우치아 프라다 (3)2009.06.02 19:52 | ... | 화석

http://kr.blog.yahoo.com/seongeene/15680" HREF="http://kr.blog.yahoo.com/seongeene/15680" TARGET="_blank">http://kr.blog.yahoo.com/seongeene/15680 

★'프라다'그녀는...

당초 예상은 여지없이 틀렸다.

귀고리외엔 장신구 하나 없이 소박한 옷차림으로 자리잡은
'여제'는 소탈, 털털하고 겸손했다.

프라다를 세계 최정상 브랜드로 키운
이 오너 3세 디자이너를 요약하면

"새로운 것을, 각자 스스로의 정수(精髓·core)로부터 뽑아내고 발전시키라"
는 메시지를 누차 강조.

그녀는 자주 폭소를 터뜨리며 친근히 대화를 이끌었다.

하지만 답변은 굉장히 꼼꼼해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려면,
"더 답할 게 있다"고 끊고 대답잇는 식이었다.

그녀는 '디테일'에 굉장히 강했다.



                     
  <오늘은 강화님의 정성스러 강남콩꽃이야기입니다.  /강화도님>


2009. 06. 02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한자로 채두(), 운두()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멕시코 중앙부에서 과테말라, 온두라스 일대이다.
BC 5세기부터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이 재배하였고 중앙·남아메리카로
보급되었다.
유럽에는 아메리카 대륙 발견이후 에스파냐 사람에 의해 전파되었다고 한다.




한국에는 중국 남쪽 지방에서 들어왔다고 하며, 일제감점기에 일본에서
여러 품종을 도입하여 식용으로 재배하였다. 홍색 등의 꽃이 핀다.
열매는 원통형이거나 좀 납작한 원통형의 꼬투리이다.
줄기잎은 사료로 쓴다.





성분은 녹말 60%, 단백질 20% 정도를 함유한다.
품종:초성()에 따라 덩굴형, 왜성형 및 중간형, 그리고 이용면에 따라
종실용(), 청실용(), 꼬투리용으로 구분된다.

품종으로는 성숙되기 전에 수확하여 식용하는 긴알락콩, 왜성 품종으로
진다홍콩, 종실종에는 핀토(Pinto), 레드멕시칸(Red mexican), 켄더기
원더(Kentucky wonder) 등이 있다.

이용:열매는 밥에 넣어서 먹거나 떡·과자의 소로, 어린 꼬투리는 채소로
쓰인다.
중남미·인도·아프리카 등지에서는 주식으로 이용된다.

 

............................................................. 
  싸이월드 공감 추천(0) 스크랩 (0) 인쇄
 고란초 2009.06.03  10:40 

화석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세계적인 여제 프라다라는 분도 실제적으로 보면 이렇게 겸손하고 소탈한 분이셨네요.
하지만 그분의 내면은 엄청 꼼꼼하고 문제의 핵심을 잘 알고 있는 분이네요.
디테일에 강하신 분이 많이 성공하더군요.
화석님, 항상 건강하시고 즐거운 나날 되시길 빕니다.

 화석 2009.06.04  05:31 

그렇더군요... 엣난 저가 올린 왕중추의 디테일...
그리고 두고 보시면 얼마전 이야기도 나옵니다.
대단한 여걸임이 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