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12. 18:34ㆍ나의 의학소고
우리 님들 일생동안 감기 한번 걸리지 않았다면 거짓말이겠죠?
하지만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감기에 걸리려면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추운 날씨로 인해 감기에 걸리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감기에 걸리게 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저의 글 속으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하시고 감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기는 추우면 걸리는가?
- 독감 예방접종입니다.
단 이 사진은 이 글과는 무관합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도 감기는 추위나 찬바람 같은 날씨의 악조건으로 인해 걸리는 것으로 생각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날씨의 조건들은 감기의 간접적 원인이 되기는 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사실이 아래의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북극에 가까운 ‘스피츠베르겐 제도’라고 하는 섬에선 감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추위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섬은 10월에 마지막 배가 떠나면 주위의 바다는 얼어붙고, 다음해 5월에 배가 새로 올 때까지 육지와 교통이 완전히 끊어져버린다. 섬의 주민들은 그 동안 섭씨 영하 20도 이하의 혹한 속에서 생활해야만 하는데 감기에 걸리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음 해 5월이 되어 그 해의 첫배가 들어오면, 승무원이나 승객 중에 감기에 걸린 사람으로부터 섬의 누군가가 감기에 걸리고, 주민들 사이에 유행한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아무리 추워도 추위만으로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하지만 감기는 분명히 추운 계절에 발병하기 쉽고, 유행이 뒤따른다.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이란 말인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감기는 다음 3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걸린다.
첫째,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추위에 매우 강해 가을, 겨울 같은 추운 계절에 활동하기 쉽다. 그 뿐만 아니라 감기 바이러스는 건조한 곳에서 가장 잘 생존한다. 따라서 춥고 건조한 겨울에 감기에 걸리기 쉬운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여름 감기라고 하여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감기에 걸리는 수가 있는데, 이 때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로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활동하기 쉬운 아데노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등이다.
둘째, 추운 계절은 감염 경로로 보아도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에게 유리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재채기나 기침 등을 통해 전염되는데, 추운 계절엔 방의 창문이나 문을 닫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감기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요즘 여름감기도 많은 이유는 에어컨을 가동한 실내의 창문이나 문을 꼭꼭 닫아놓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셋째. 여름철에 비하면 추운 계절에는 호흡기의 기능이 약간 저하가 된다. 따라서 감기 원인균에 대한 호흡기 저항력 저하로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더 많게 된다. 실제적으로 추운 겨울보다는 가을이나 봄과 같은 환절기에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환절기엔 주야간의 기온 차가 심해서 사람의 몸이 그런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사이에 감기 바이러스가 침입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감기는 추위 그 자체 때문에 걸리는 것이 아니고 감기 바이러스 때문에 걸리게 된다. 물론 추위나 건조한 날씨도 감기에 걸리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중요한 사실은 추울 때나 건조할 때 그리고 환절기에는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의 저항력도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감기는,
첫째, 감기 바이러스의 존재.
둘째, 감기 바이러스가 활동하기 좋은 환경 또는 날씨.
셋째, 우리 몸의 저항력 감퇴.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이다.
............................................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하셨나요?
이제 감기에 걸리는 조건에 대해서 아시겠지요? 이것을 알면 감기도 쉽게 예방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은 약 이야기를 약간 참조하였습니다.
우리 님들 모두 오늘도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나의 의학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상별 약 이야기 (0) | 2011.03.12 |
---|---|
감기에 대한 일반적인 주의사항 (0) | 2011.03.12 |
신종플루, 제대로 알고 예방하자 (0) | 2011.03.12 |
눈물은 대화의 방해꾼 (0) | 2011.03.12 |
약 이야기 제11편(영양제에 대하여 제1화) (0) | 201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