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株主자본주의' 는 죽었다(4)... '사라락 사라락' 죽순이

2011. 11. 12. 20:01화석·청천리님 방

 

'株主자본주의' 는 죽었다(4)... '사라락 사라락' 죽순이!

2010.08.26 05:14 | 님들의 휴게실 | 화석

http://kr.blog.yahoo.com/goran5006/2290 

 

고객이 제일 우선 주주는 마지막!


   ■고객이 첫번째, 주주는 맨 마지막

   ―새로운 고객 자본주의를 상징하는 기업이나 기업인이 있습니까.

   "존슨&존슨을 좋은 예로 꼽을 수 있습니다. 이 회사 본부 건물에는 '신조(credo)'라고
    부르는 회사의 사명(mission)이 새겨져 있죠.

    첫째가 고객이고,
    둘째가 종업원이며,
    셋째가 지역사회이고,
    맨 마지막이 주주입니다. 
                                                         < 깜작도요... 강화도님>
    

 

 

 



    주주가 맨 마지막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앞의 세가지를 잘하면 주주도 좋아진다는
    것이죠. 제가 최근에 확인했을 때 이 회사의 시가총액이 세계 8번째였습니다.
  
    고객이 첫째고, 주주가 마지막이라는 것을 분명히 함으로써 지구상 어느 기업보다도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는 것입니다. 타이레놀 리콜 사건은 이 회사가 고객을
    첫째로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죠.

    포천(Fortune) 매거진의 리스트 가운데 '소비자들이 가장 존경하는 회사'와
   '종업원들이 가장 존경하는 회사'
이 두 가지야말로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강력한
    목표로 꼽을 수 있습니다. "

   ―그 동안 많은 CEO들을 만나셨는데, 가장 인상적인 3명만 꼽는다면.

   "우선 P&G의 래플리 꼽을 수 있습니다. 그와 함께 오랫동안 일했기 때문에
    그에게 닥친 도전이 얼마나 엄청난 것인지 전 똑똑히 볼 수 있었습니다.
    그는 영민하지만 전인적인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인류애를 지닌 인물이며, 그의 철학은 고객과 종업원 친화적입니다.
    나머지 두 명은 인포시스의 창업자인 낸던 나일카니(Nilekani)와 테디 블레처
    CIDA 설립자
를 꼽을 수 있습니다.

    나일카니는 놀라운 방법으로 인포시스를 설립했고, 훌륭한 마음씨를 가지고 있습
    니다. 블레처는 남아공의 사회기업가인데 가난한 흑인들을 위한 무료 대학을 최초로
    설립했습니다.

    그의 훌륭한 점은 어려운 일들이 닥쳐 주위에서 '할 수 없다' '불가능하다'고 말할
    때마다 '그래, 한번 해보자'며 물러서지 않는
입니다. 저는 훌륭한 마음을 가지고
    독특한 일을 한 비즈니스맨을 좋아합니다."


'사라락 사라락' 죽순 크는 소리, '사각 사각' 맛있는 죽순소리

       위치 : 전남 담양군 담양읍 백동리, 오계리 
   
 
 
 
         ▲ 죽순회와 죽순나물이 있는 대통밥정식

    대나무골 담양의 5 ~ 7월은 무척이나 분주하다. 우후죽순, 바로 죽순 때문이다.
    비 개인 날, 방문을 열고 앉아 귀 기울이면 사라락 사라락 죽순 자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이며, 하루 최대 150cm를 자란다는 죽순이 땅 위에 쌓인 댓잎을 밀치고
    솟아오르며 내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죽순을 밟을까봐 대밭에 들어설 수 없었던 담양아이들의 귀를 즐겁게
    해주는 소리이기도 했다. ‘대나무밭 세 마지기면 부럽지 않은 부자다’라고 했을 만큼
    대나무는 담양사람들의 모든 생활에 연관되어 있었던 것 같다.
    그러니 대나무가 많아야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이다.

    죽물시장이 한창이던 때, 담양의 아이들은 학교에 다녀오면 책가방을 던져두고 제일
    먼저 대나무바구니를 짰다고 한다. 정해진 양만큼의 대바구니를 짠 후에야 학교 숙제
    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아버지가 쪼개놓은 대나무를 온 가족이 엮어 바구니를 만들고, 다시 아버지 손에 의해 
    마무리되어 하나의 상품이 되었던 것이다. 가족 안에서도 전문분야가 따로 있었던 셈
    이다. 이렇게 만든 바구니는 부모의 손에 들려 장날, 시장에서 팔려나갔다.

    그날은 아이들에겐 축제였다. 가방을 맨 채 시장으로 어머니를 찾아가면 새 옷과 맛있
    는 국수가 주어졌으며, 지금도 담양오일장이 서는 관방천변에 국수거리가 있다.

    장날, 어머니의 손에 들려 온 맛있는 음식들은 대밭 냉장고에 보관했다.

    햇살이 바닥까지 닿을 수 없는 대밭은 숲 밖의 온도보다 4 ~ 7℃ 정도 서늘했기 때문.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대나무의 습성상 계곡을 끼고 있는 곳이 많아 대숲 안 물가에
    항아리를 묻으면 더없이 좋은 냉장고가 되었으며, 대숲에서 많이 발생하는 음이온도 
    음식의 싱싱함을 유지하는데 한 몫을 담당했을 터이다.
 


     


        좌 : 죽순회와 죽순. 우 : 쭉쭉 자라 오른 죽순, 아직 댓잎이 없는 것이 올해
            자란 대나무이다 

    대밭을 가지고 있어도 죽순을 먹는 것은 쉽지 않았다. 아이들을 가르치고 시집장가를
    보내줄 귀하디귀한 대나무를 하나라도 더 길러야 했기 때문이다. 대나무는 어느 하나
    버릴 것이 없다고 한다.

   죽순을 감싸고 올라왔던 죽순 껍질이 옷을 벗으면 그것을 주워 방석을 짜고, 대나무의
   겉껍질을 얇게 벗겨 한약재로 쓰고, 대통을 곱게 쪼개 바구니를 짜고, 나머지 조각들은
   모아 불을 때는 데 사용했다.

   그렇다보니 어쩌다 하나씩 먹을 수 있었던 죽순은 휘어져 올라와 달리 사용할 데가
   없는 것들이었다. 곧게 자랄 수 없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죽순만 캐어 먹은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양에는 많은 죽순요리가 있다. 죽순을 썰어 들깨와 찹쌀가루를
   넣어 만든 죽순나물, 고추장의 매콤한 맛과 우렁이의 쫄깃한 식감이 죽순과 어우러지는
   죽순회,  얇게 저민 죽순에 가루를 입혀 부쳐내는 죽순전, 된장국의 구수함을 더해주는
   죽순된장 찌개, 투명하고 쫄깃하게 조려낸 죽순정과 등이 그것.

   임금님만 드셨다는 죽순요리를 담양에서 늘 먹을 수 있게 된 건 담양의 죽물시장이
   문을 닫고, 죽세공품이 중국산에 밀려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게 된 10여 년 전부터이다.

   최근엔 혈압을 낮추는 약리효과와 섬유질이 풍부해 다이어트식품으로 제격이라는 평가
   를 받으면서 담양 대나무의 명성을 잇는 새로운 상품으로 죽순이 떠오르고 있다. 

     



              좌 : 우후죽순, 대숲 여기저기서 죽순이 솟아올랐다. 우 : 삶아 놓은 죽순들 

    죽순은 땅을 밀치고 올라와 40일이면 다 자라 대나무가 된다. 그 후엔 꼿꼿이 선채
    속살을 찌운다고. 최상의 대나무는 3년생. 제법 튼실하게 속이 찬 대나무이다.
    대나무는 땅 속에서부터 나무의 굵기가 정해진다. 죽순으로 솟아오른 굵기 그대로
    자라는 것.

    죽순을 쪼개보면 그 안에 이미 대나무의 형질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덕분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한다.
담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대나무는 맹종죽과
    왕대, 분죽이다. 모두 대나무바구니를 짤 때 사용되었던 종류였으나 이젠 죽순으로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대나무들이다.

    그중 담양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대나무는 ‘분죽’이다. 솜대라 불리는 분죽은 대나무
    공예품을 만들 때 곱게 쪼개 면을 메우던 것으로 가장 많은 양이 필요했던 종류이다.
    그렇다보니 담양 대나무의 대부분을 분죽이 차지한다. 담양사람들은 분죽의 죽순이
    맛도 가장 좋다고 한다.

    아삭거리며 씹히는 식감이 좋고 구수한 향과 맛이 일품이라고 한다.

    담양죽순을 도시에서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상품화하고 있는 곳이 있다.
    담양죽순영농조합법인이다. 이곳에서 대밭을 가진 농민이 채취해 오는 죽순을 수매한
    후, 바로 껍질을 벗기고 삶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진공 포장해 판매하고 있는 것.

    덕분에 1년 내내 도시에 앉아 죽순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좌 : 들깨와 찹쌀을 넣고 볶아낸 죽순나물. 우 : 죽순 껍질이 붙어있는 대나무

   담양을 찾는 많은 사람들은 초록이 지천인 숲을 찾는다. 그들이 찾아가는 첫 번째
   숲은 대숲이다. 담양 대숲의 대표장소인 죽녹원은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 282번지에
   자리하고 있다.

   2003년 5월, 담양군청이 담양천과 맞닿은 성인산 자락의 오래된 대숲을 사들여
   만든 장소로 약 16만㎡(약 5만평)나 된다. 숲이 크니 대나무 사이로 이어지는 산책로
   의 길이도 길다. 입구를 들어서 운수대통 길, 샛길, 사랑이 변치 않는 길, 죽마고우길,
   추억의 샛길, 성인산 오름길, 철학자의 길, 선비의 길 등 주제를 가진 길이 2.2km나
   이어지고 있다.

   길을 따라 걸으며 음이온과 산소를 마시며 죽림욕을 즐기기에 제격이다. 
 
         ▲ 좌 : 관방제림. 우 : 관방천 
    
   담양에는 오랜 전통이 담긴 아름다운 숲도 있다. 담양천 남쪽 둑을 따라 1.5km 가량
   이어지는 관방제림이다. 이 숲은 원래 조선 인조 때인 1648년 담양부사 성이성이
   수해를 막기 위해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지금처럼 숲이 무성한 둑을 만든
   것은 철종 때인 1854년이다.

   담양부사 황종림이 관비를 들여 연인원 3만의 인력을 동원해 지금 같은 둑을 쌓고
   나무도 심었다고. ‘관방제’라는 이름도 그때 붙여진 것. 관방제의 숲은 홍수로 인해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 호안림(護岸林)이다.

   숲에 가장 많이 심겨진 나무도 뿌리를 깊게 뻗어 흙을 단단히 부여잡을 수 있는 푸조
   나무이다. 푸조나무와 함께 느티나무, 팽나무, 벚나무 등의 활엽수가 700여 그루 심겼
   다고. 지금껏 남아있는 것은 400여 그루 남짓이다.

   하천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관방제림은 학술적 역사적인 가치가 높은 관성교 오른쪽의
   숲이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되었다. 숲길을 따라 관방천변을 걸으면 180여 그루
   의 노거수가 만든 거대한 초록터널을 지나게
된다.

   수령 300 ~ 400년의 고목이 즐비해 그늘도 넓다. 온종일이 앉아 있어도 햇살이 스며
   들지 않는 장소인 관방제림. 나무그늘 아래 놓인 벤치와 평상은 담양사람들의 쉼터이
   자, 담양을 찾은 여행자들의 쉼터이다. 그곳에 앉아 책을 읽거나 낮잠을 즐기는 사람
   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살랑거리는 강바람을 맞으며 산책하거나 자전거 하이킹을 즐기기에도
   더없이 좋은 공간인 것 같다. 

   
 

 

 

 

   

   ▲ 좌 : 한국대나무박물관 전경. 우 : 한국대나무박물관 전시관 내부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담양군청 문화관광홈페이지
http://tour.damyang.go.kr/tourism
  - 담양죽순영농조합
www.juksoon.com
  - 한국대나무박물관
www.damyang.go.kr/museum
  - 죽녹원
www.juknokwon.org

○ 문의전화
  - 담양군청 문화관광과 061)380-3153
  - 박물관앞집 061)381-1990
  - 담양죽순영농조합법인 061)382-1234
  - 한국대나무박물관 061)380-3114
  - 죽녹원 061)380-3244

○ 대중교통 정보 : 주요 도시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방법
[ 기차 ] 용산역-광주역, KTX 하루 5회 운행, 3시간 소요
        * 문의 : 한국철도공사  1544-7788,
www.korail.com

[ 버스 ]
- 서울 → 담양, 10:10(일반) 16:10(우등), 약 3시간 45분 소요.
           * 문의 : 이지티켓
www.hticket.co.kr

- 광주 → 담양, 직행버스, 05:50 ~ 22:45, 20분 간격 운행, 40분 소요
           * 문의 : 광주광역시터미널 062-360-8800

○ 자가운전 정보
[서울-담양]
경부고속도로 진입 → 천안논산고속도로 천안분기점, 광주·전주·공주 방면 진입→ 천안논산고속
도로 논산분기점, 광주·익산 방면 호남고속도로로 진입 → 고창담양고속도로 장성분기점,
순천·북광주 방면 진입 →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분기점, 함양·담양 방면으로 진입 → 88올림픽
고속도로 담양IC 진출, 약 3시간 40분 소요.

[부산-담양]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 IC →  남해고속도로 냉정분기점, 남해고속도로 마산·진례 방향 진입
→ 호남고속도로 대덕분기점, 고창담양고속도로 고창·전주·북광주 방면으로 진입 → 88올림픽
고속도로 담양분기점, 광주·함양·담양 방면 진입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IC 진출, 약 3시간 소요.

[담양 내 교통]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IC 진출 → 29번국도 진입 → 백동사거리, 직진(우회전하면 담양죽순영농
조합으로, 좌회전하면 한국대나무박물관과 박물관앞집으로 길이 이어진다.) → 담양읍삼거리,
좌회전 → 담양읍내 통과 → 관성교 건너 오른쪽 주차장에 주차 → 주차장 건너편이 죽림원,
관성교 건너기 전 오른쪽이 관방제림 입구

○ 숙박정보
- 골든리버모텔 : 담양읍 백동리, 061)383-8960,
www.goldenriver.kr.
굿스테이(관광공사 인증 숙박업소)
- 죽향테마마을 : 담양읍 운교리, 061)380-2690,
http://bamboo.namdominbak.go.kr/
- 담양리조트 : 금성면 원율리, 061)380-5000,
www.damyangspa.com
- 추월산해피랜드 : 용면 월계리, 061)383-7759, 굿스테이(관광공사 인증 숙박업소)

○ 식당정보
  - 박물관앞집 : 담양읍 백동리, 죽순회 대통밥, 061)381-1990
  - 뚝방국수 :  담양읍 천변리, 멸치국수 댓잎계란, 061)382-5630
  - 제일숯불갈비 : 담양읍 반룡리, 떡갈비, 061)381-1234
  - 신식당 : 담양읍 담주리, 떡갈비, 061)382-9901,
www.sinsikdang.co.kr

○ 이색체험 정보 : 영농조합법인 대나무바이오
담양읍 삼만리에 자리하고 있는 영농조합법인 대나무바이오는 대나무숯공장이다.
이곳에서 숯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생겨난 죽초액을 첨가한 천연저온비누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다. 체험장은 대나무바이오연구소 2층. 피부를 곱게 만들어주는
특허 받은 신물질도 첨가되어 아토피가 있는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도 좋은 비누이다.

체험은 예약 필수. 문의 061)383-9100

○ 주변 볼거리 : 메타세쿼이아 가로숲길, 소쇄원, 가사문학관, 식영정, 창평면 돌담길


                                        9월의 노래/패티김
           
                 

                  
     
               < 가을... 강화도님 >

        


9월이 오는 소리 다시 들으면
꽃잎이 피는 소리 꽃잎이 지는 소리

가로수에 나무잎은 무성해도
우리들의 마음엔 낙엽은 지고

쓸쓸한 거리를 지나노라면
어데선가 부르는 듯 당신 생각뿐

낙엽을 밟는 소리 다시 들으면
사랑이 가는 소리 사랑이 오는 소리

남겨준 한마디가 또다시 생각나
그리움에 젖어도낙업은 지고

사랑을 할때면
그 누구라도쓸쓸한 거리에서

만나고 싶은가......


중부지방은 2차 장마가 계속되는 가운데 경남지방은 쨍쨍합니다. ㅎㅎㅎ
내일 오후되면 비가 온다니 내일부턴 전국이 가을체제로...

 

 
  싸이월드 공감 추천(0) 스크랩 (0) 인쇄
 화석 2010.08.26  05:16 

"'리튬 분야' 한국기술 뛰어나" 볼리비아 대통령 극찬
국회의원 한번만 하면 평생 '월 120만원'씩 주는 법 통과
김문수, 청와대 경고에도 "국가 리더십 혼미" 쓴소리
카터 전대통령, 北 김영남 위원장과 면담후 만찬

하루 이동 기껏해야 3km…중국, 최악 교통체증 열흘째 체증100km
160㎞ 달리다 하늘로 '초고속 교통사고' 끔찍...부딪치자마자
日王, 노태우 前대통령에게 "조상중에 한국인 피"
실탄 44톤 ’펑펑’, 日 육상 자위대 화력 시범

'진흙탕 연아' 구하기, 50만명 홈피 방문...오서와 철저 고용관계?
野의원도 쩔쩔맨 '당찬 형수님'...김태호 그릇이 아니다 평가절하
"몸으로 돈 내라" 여중생 성추행한 전직 50대 택시기사
도시생활자들, 관광 갔다가 '시골 사람이 더 무섭다' 생각

여왕에게 바친 '애정의 사과' 방울토마토의 유래
50km 밖 먼 바다서도 휴대전화 터진다
서울시 ☎120 다산콜 3년7개월 만에 2000만건 돌파
태안에서 해본 ‘독살체험’ ... 독살이 뭘까요? ㅎㅎㅎ

서울21/27, 부산24/31... 오늘도 제2장마는 중부권에...
내일 오후 되어야 부산에도 비 소식! 비피해 조심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