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20. 11:51ㆍ나의 영농수첩
우리 님들 2009년도 저의 영농 수첩 서른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수확을 하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들판의 벼들도 모두 수확이 끝났고, 채소들도 수확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오늘은 텃밭의 고구마와 땅콩, 가지, 호박 등을 수확해보았습니다. 인근 밭에는 배추, 무 등이 엄청 많이 자랐더군요.
우리 님들 함께 저의 텃밭으로 가셔서 수확 과정을 즐겁게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2009년 나의 영농 수첩
제33편
수확의 계절
사진 촬영 일자: 2009년 11월 5일
- 영농지에 심은 고구마들이 최근 한파로 잎이 시들어 공동영농지 주인과 같이 고구마 수확을 하기로 했습니다.-
- 제법 굵게 구근이 들었군요. 이것은 호박고구마라고 했는데 나중에 쪄서 확인해보겠습니다. -
- 저의 텃밭에 있는 고구마도 일단 수확해보기로 했습니다. 고구마 줄기를 걷어 올리자 제법 굵은 고구마가 줄줄이 달려나옵니다. -
- 이것도 호박고구마라고 하더군요. 좌우지간 일단 캐서 쪄봐야 알 것 같습니다. -
- 다섯 그루를 캐서 이 정도면 올해 고구마 수확도 상당할 것 같네요. -
- 비닐봉지에 담았더니 한 봉지 반 정도 됩니다. 내년엔 고구마도 많이 심어야 할 것 같고... 공동 영농지는 큰 마대로 4부대 정도 수확되었네요.-
- 고구마로 재미를 붙이고서 이번엔 올해 처음 심어본 땅콩을 캐보기로 했습니다. 꽃이 필 무렵에 이랑을 더 크게 해주고 꽃을 흙으로 묻어줘야 한다고 했는데, 흙만 좀 쌓아주고 그냥 놔둬버려 한 개도 안 열렸을 것으로 예상했지요. 그런데 보시다시피 예상 외의 결과를 보여줍니다. -
- 한 그루를 파보니 땅콩이 주렁주렁.
"ㅋㅋ 이게 웬일이야?"
눈 씻고 다시 보아도 정말 많이 달렸습니다. -
- 그런데 아직 여물지 않은 것들이 제법 있어 두 그루만 파고 좀 더 놔두기로 했습니다. 두 그루에서만 따낸 땅콩들입니다. -
- 땅콩도 비교적 성공적이었습니다. 아무튼 내년엔 더 많이 심어봐야지.
"그건 그렇고 이걸 어떻게 먹어야 하나? 삶아서 먹을까, 구워서 먹을까?"
별스런 행복한 고민도 다 해보고 있네요.ㅎㅎ-
- 가지는 이제 잎이 시들어 마지막이 될 것 같습니다. 색깔도 크기도 다양한 길쭉이들입니다. -
- 요즘은 하얀집의 식탁엔 여러가지 수확물들이 넘칩니다. 호박, 석류, 방울토마토 등등...
방울토마토나 고구마를 안주 삼아 즉석에서 이슬이 한 잔...카악!! -
- 이제 고구마를 테스트해 볼 차례입니다. 고구마가 호박인지, 밤인지, 물인지??? 고구마 몇 개를 물에 깨끗이 씻고 절반으로 갈라 찜통을 이용해 쪄보았습니다.
"와~ 제일 맛좋은 호박고구마다. ㅎㅎ 우리 님들 먼저 먹는 사람이 임자입니다요."
괜찮은 종자였군요. 몇 개는 놔두었다가 내년에 또 심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 오늘따라 호박이 더욱 예뻐보이네요. ㅋ 진짜 호박도 점점 늙어가는지 노란색 새치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 "텃밭 주인님, 저도 좀 봐주세요. 오동통한 길쭉이... 어디에다 쓰면 좋은 물건일까요?"
"내가 요즘 나이 먹어 뭔가가 부족한 듯한 느낌인데... 널 보니 힘이 솟는구나. ㅎㅎ"
이 소리 울마누라가 들으면 안 되는데...ㅋ -
- 텃밭에 있는 무가 아무래도 잎무늬종 같습니다. 산반 같기도 하고 얼룩무늬 호피반 같기도 하네요. 배추흰나비 애벌레가 안 갉아먹었으면 더 예쁘게 보일텐데... -
- 인근 영농지의 배추입니다. 정말 실하게 잘 큽니다. -
- 구근도 엄청 크고 잎도 싱싱합니다. 이제 곧 김장철이 다가오겠죠? -
- 오늘은 잠시 근처를 돌아보다가 월출산 모습을 보고 싶어 디카로 찍어보았습니다. 거의 완공된 무영대교가 보이네요. 무안과 영암을 잇는 고속도로이지요.-
- 멀리 보이는 우람한 산이 월출산입니다. 저의 영농지에서도 월출산의 월출 광경이 비교적 잘 보입니다. -
- 영산강이 보이고 있습니다. 강 건너편이 영암이지요. 들판엔 마지막 추수를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벼들의 추수가 끝났군요. -
- 산과 강과 들판을 바라보면 이제 가을도 서서히 물러가고 있는 것만 같고, 추수의 계절도 끝나가는 것을 느낍니다. 하늘의 흰구름이 시원스럽게 보이군요. -
- 청미래 덩굴의 열매가 한층 더 붉게만 보이는 것 같습니다. -
- 청미래 덩굴에게 질쎄라 찔레꽃 열매도 붉게 익어가고 있고... -
- 영농지에 심은 찔레나무도 붉은 열매가 맺혀 인근 산새들의 먹이를 제공합니다. 가을은
그간 땀 흘리며 애쓴 분들께 수확의 즐거움과 풍요로움을 선물해주는 것만 같습니다. 아울러 다른 동물들에게도 제일 기분좋은 계절이 바로 가을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하셨나요?
가을은 결실과 수확의 계절이 확실하네요. 물론 아직 수확이 다 끝나진 않았지만 말입니다. 저도 약간의 보람을 느끼는 하루였습니다.
우리 님들 모두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나의 영농수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영농 수첩(2010년) 제1편: 영농지의 겨울 (0) | 2011.03.23 |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4편: 영농지에 퇴비 주기와 수확 (0) | 2011.03.20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2편: 인근 영농지 관찰(2) (0) | 2011.03.20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1편: 영농지의 화단들 (0) | 2011.03.20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0편: 영농지의 가을 채소들 (0) | 201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