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23. 13:51ㆍ나의 영농수첩
우리 님들 2010년도 저의 영농 수첩 첫번째 이야기입니다.
연초부터 몰아닥친 한파로 영농지에는 많은 눈이 내렸고,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었습니다. 월동해야할 많은 채소들이 눈에 뒤덮힌 채 얼어서 몸살을 앓고 있네요. 얼마나 살아날 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우리 님들 함께 저의 텃밭으로 가셔서 채소들의 겨울나기를 한번 감상해보시기 바랍니다.
2010년 나의 영농 수첩
제1편
영농지의 겨울
채소들의 겨울나기
사진 촬영 일자: 2010년 1월 14일 ~ 1월 16일
- 지난 연초인 1월 14일 서해안 지방엔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남도의 끝자락인 이곳도 영하의 날씨 속에 10cm 이상의 눈이 쌓였지요. 영농지로 가는 길목에 바라본 눈에 덮힌 논과 과수원입니다. 흰눈 위로 매화 나무들만 나와있는 모습이 다소 특이하게 보입니다. -
- 논에는 둥글게 만 볏단들이 여기저기 널려있고 흰눈으로 덮혀 있군요. -
- 영농지 앞쪽에 있는 대나무 숲인데 많은 새들의 보금자리입니다. 저녁이 되면 온갖 새들이 이곳으로 집결하더군요. 대나무에도 눈이 쌓여 있습니다.-
- 눈에 덮힌 저의 영농지 풍경입니다. 오후라서 눈들이 제법 녹았군요. -
- 이제 영농지에 도착했습니다. 텃밭과 화단들이 온통 눈에 덮혀 있네요. 그래도 오후라서 다소 눈들이 녹아 채소들의 모습도 약간 눈에 띕니다. -
- 하얀집의 앞마당 잔디밭에도 눈이 덮혔는데 일부는 녹았습니다. 난실 내부도 거의 영하에 가깝게 떨어졌더군요. 다행히 난이 얼지는 않았습니다. -
- 눈에 덮혀 얼어붙은 쌈채소들의 모습입니다. 잎이 축 늘어진 모습이어서 다소 안타깝게 보입니다. -
- 대부분의 채소들이 얼어서 축축 늘어졌는데 얼마나 살아날 지 궁금합니다. -
- 인근 시금치밭에도 눈들이 쌓여 있고 시금치들 역시 맥을 못 추긴 마찬가지입니다. 텃밭 옆집에 있는 아저씨네 개가 눈밭을 이리저리 신이 난듯 돌아다니고 있네요. 그런데 뭔가를 발견한 듯 냄새를 맡고 있습니다.-
- 바로 이 녀석이었군요. 검은 고양이 네로 같은 도둑 고양이 한 마리가 여기에서 사나 봅니다. 저 개를 만나면 혼쭐이 날텐데... ㅋ -
- 그런데 이 고양이는 개보다는 저를 더 경계하는 것만 같고... 밭에 있는 개가 이녀석 냄새를 맡은 것 같은데 말입니다.ㅎ 저를 힐끔 뒤돌아보더니만 삼십육계 줄행랑을 치더군요. -
- 오후 늦은 시각임에도 영농지 앞 소류지는 꽁꽁 얼어 있고 하나도 안 녹았습니다.-
- 인근 야산에도 흰눈들이 덮혀 있군요. 서울 지역엔 20cm가 넘는 폭설이 내렸다고 하니 여기보다 더 큰일입니다. 제발 사고들이 없기를 바랍니다. -
- 이틀 후인 1월 16일 날씨가 제법 풀려 눈들이 많이 녹았을 것 같아 다시 영농지를 찾았습니다. 쌈채소를 덮어주었던 퇴비나 들깨 껍질 썩힌 비료들이 바람에 많이 날려버린 것 같습니다. 이러니 쌈채소들이 모두 얼어 맥을 못 춘 것 같네요. -
- 그러면 지금부터 채소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쌈채소인 적 치커리입니다. 많이 늘어지고 마르긴 했지만 포기 속에 있는 잎들은 아직도 팔팔하게 살아 있네요. 얼어도 다시 살아나는 것만 같습니다. 와~ 이거 대단한 생명력이네요. -
- 레드 콜라비입니다. 찬 바람이 너무 세게 불어 잎들이 많이 떨어져 나가고 얼어서 축 늘어졌는데도 다시 살아나는 것 같습니다. 동그란 줄기의 구근은 그대로 살아있고... -
- 레드치커리는 겉잎이 모두 말라 붙어버렸습니다. 그런데도 붉은 양배추 모양의 속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겉잎이 담요처럼 속을 둘러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가 봅니다. 그러니 눈이 많이 내리고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어도 이렇게 잘 버티게 되겠죠? -
- 붉은 무인 비트입니다. 잎이 많이 얼어 있지만 죽지는 않았군요. 속잎들은 아직도 싱싱한 것만 같고... -
- 적색 치마상추는 아무리 추워도 끄떡이 없네요. 잎 하나 상하지 않고 말짱합니다. 텃밭 채소 중에 제일 월동을 잘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시금치는 월동을 잘하지만 약간 겉잎이 마른 것 같고... -
- 파와 양파들도 다소 늘어지긴 했지만 말짱해 보입니다. -
- 마늘은 원래 월동을 잘 하므로 전혀 손색이 없어보입니다. 부추는 모두 잎이 시들어버렸군요. 그래도 봄에 다시 싹이 나올 것 같습니다. -
- 무나 배추는 모두 얼었는데 살아날 지 죽을 지는 조금 더 지나봐야 알 것 같네요. 다행히 아직까지는 모두 살아있습니다. -
- 그렇다면 화초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몇 종만 살펴보겠습니다. 외래종 서양채송화입니다. 눈에 덮히고 얼어도 전혀 문제가 없네요. 잎들이 모두 살아 있습니다. -
- 이건 서양 꽃잔디 같은데 역시 잎들이 말짱합니다. 모두 잘 월동을 하고 있군요. -
- 외래종 앵초 종류 같습니다. 이건 한 술 더 떠서 꽃까지 피려고 하네요. 화초들도 추위에는 엄청 강한 것만 같고... -
- 와~ 이 외래종 앵초는 겨울에 기어이 꽃을 피고 맙니다. 역시 대단합니다. 들판의 야생초들도 겨울에 꽃을 제법 피어댔었는데, 이런 화초도 겨울을 봄으로 착각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ㅋ-
- 공동영농지에 심은 채소들입니다. 시금치, 무, 마늘, 완두콩 등이 보입니다. 이곳이 더 추운지 눈들이 일부만 녹았네요. -
- 무가 눈에 덮혀 잎들이 축 늘어져 있지만 모두 다 살아있습니다. -
- 부추는 대부분 잎이 마르고 늘어져 있네요. 봄에 나올 싹들을 준비하고 있는 것만 같고... -
- 여기 있는 마늘은 눈 때문에 대부분 누워버렸군요. 그래도 봄이 되면 싱싱한 잎들이 나오겠지요. -
- 쑥갓은 대부분 얼어 죽을 것만 같습니다. 그래도 뿌리 쪽이 살아있으니 봄에 새싹들이 나오리라 확신합니다. -
.......................................................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하셨나요?
몇 차례의 한파가 지나갔어도 대부분의 채소들이 그런대로 잘 월동을 하고 있습니다. 정말 식물들의 강인함을 여기서 다시 보게 됩니다.
한 겨울 월동하고 봄이 되면 어김없이 예쁜 꽃들이 피어나겠죠? 그 때가 기다려집니다. 영농지의 겨울은 오늘도 이렇게 말없이 저물어갑니다.
우리 님들 모두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나의 영농수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영농 수첩(2010년) 제3편: 영농지의 봄 (0) | 2011.03.23 |
---|---|
나의 영농 수첩(2010년) 제2편: 초봄의 영농지 (0) | 2011.03.23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4편: 영농지에 퇴비 주기와 수확 (0) | 2011.03.20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3편: 수확의 계절 (0) | 2011.03.20 |
나의 영농 수첩(2009년) 제32편: 인근 영농지 관찰(2) (0) | 201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