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정원에서(2010년) 제7편: 방아깨비의 거미집 탈출과 호랑나비애벌레

2011. 3. 26. 09:21나의 정원

 우리 님들 최근에 중형 태풍 뎬무가 지나가자 다시금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날씨를 보면 장마가 재차 발생되고 있는지 집중호우가 산발적으로 내리고 있네요.
 영농지는 태풍 뿐만 아니라 이런 강풍을 동반하는 호우로 인해 피해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다시 찾은 영농지는 잡초도 많이 자라고 강풍에 키가 큰 채소들이 상당수가 쓰러졌더군요.
 이번에도 정원엔 많은 곤충들이 생존경쟁을 하고 있었고, 여름꽃들도 새롭게 피어나는 종류가 꽤 많았습니다.  
 이번에는 좀 더 자세하게 호랑나비 애벌레와 거미들의 생활상, 그리고 거미집을 탈출하는 방아깨비 유충에 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아울러 기타 곤충들과 정원에 핀 여름꽃들도 같이 담아보았지요.
  우리 님들 저의 영농지 화단으로 가셔서 제6편에 이어 곤충들의 생활상을 재차 감상해보시기 바랍니다.




                                  
여름의 정원에서



                                           제7편
 





                                
곤충들의 생활상(5)



         
거미집을 탈출하는 방아깨비 유충과 
              호랑나비 애벌레의 생활 
              

             
사진 촬영 일자: 2010년 8월 12일 ~ 8월 16일




- 최근에 저의 영농지를 다시 찾았습니다. 세찬 바람이 불더니만 순식간에 검은 구름이 하늘을 뒤덮습니다. -


- 이어서 천둥과 번개가 계속해서 치며 장대비 같은 소나기가 세차게 내리기 시작하네요. -


- 저의 화단에도 쉴새없이 장대비가 쏟아지고... -


- 강풍으로 누워버린 쌈채소들이 있는 텃밭에도 퍼붓어댑니다. -

- 잔디밭은 순식간에 불어난 빗물이 넘쳐흐릅니다. 저의 영농지는 다행히 야산 정상 부위에 있어 물은 쉽게 아래로 빠지더군요. 요즘 날씨는 이런 경우가 흔히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


- 그러면 지금부터 운없이 거미줄에 걸린 방아깨비가 몸의 일부를 희생해가며 탈출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거미는 아마도 무당거미처럼 보입니다. -


- 잔디밭에 있던 방아깨비 한 마리가 용담으로 기어올라가더니만 근처의 풀로 뛰어내리다가 그만 거미줄에 걸려버렸네요. 이 방아깨비는 유충이라서 아직 날개가 다 자라지 않았습니다.-


- 빠져나오려고 안간힘을 쓰는 방아깨비입니다. -


- 거미줄의 진동을 느낀 거미는 곧장 방아깨비에게 내려가네요.-


- 다 빠져나왔지만 뒷다리 하나가 단단히 걸려 거미에게 붙잡힐 위기에 처한 방아깨비. -


- 위험을 느낀 방아깨비는 결국 뒷다리 하나를 포기하기로 마음 먹고 거미에게 떼어줍니다. -
 

- 그리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줄행랑치네요. -


- 뒷다리 하나를 얻은 거미이나 영양가 없는 것만 불로소득했군요. ㅎ-


- 다음으로는 정원의 꽃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닷가 모래땅에 사는 순비기나무의 꽃입니다. -

- 위의 순비기나무꽃을 확대해본 것입니다. 아름답게 보이시죠? 요즘 바닷가 모래밭을 이 꽃이 온통 보랏빛으로 물들일 것만 같습니다. -


- 모시대입니다. 모싯대라고도 하지요. 도라지과에 속하므로 꽃의 형태는 섬잔대와 비슷합니다. 줄기와 꽃은 제법 크지만 구근은 매우 가늘고 작더군요.-


- 위의 모시대꽃을 가까이서 찍은 것입니다. -


- 모시대꽃의 내부 모습은 도라지와 흡사하군요. -


- 다음으로는 암컷 무당거미에게 구혼의 손길(?)을 뻗는 수컷 무당거미에 대해서 관찰해보겠습니다. 암컷 무당거미집에 수컷으로 보이는 무당거미 한 마리가 서서히 접근합니다. -
 

- "나 어떻게 생각해?"
 사전에 구애작전이 필요할 것 같은데 이녀석은 대뜸 배짱 두둑한 소리를 내뱉는 것만 같네요. -


- "너 나랑 2세 만들기 한번 어때?"
   "흥!! 대낮부터 별꼴이야."
 달갑지 않은 수컷인가 봅니다. 전혀 반응이 없군요.-


- 뒤돌아서는 발걸음이 무겁기만 해보이고 쓸쓸한 것 같습니다.
 "세상에 널린 게 암무당거미들인데 날 거들떠보지도 않다니..."
 그래도 입만 살아가지고...ㅋㅋ -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입니다. -


- 노린재 종류치고는 매우 큰 편에 속하고 우람하게 생겼더군요. -


- 여러해살이 풀잎을 즐겨먹는 가시길쭉바구미입니다. 바구미는 대개 곡식이나 열매를 파먹던데 이 종류는 잎을 먹고 산다고 하더군요. -

- 입이 길쭉하게 생겼으니 입길쭉바구미라고 해야 맞겠는데, 왜 가시길쭉바구미라고 부르는지 모르겠습니다.ㅎ -


- 다음으로는 텃밭에 있는 야생초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들판의 잡초인데 꽃은 개쑥갓처럼 핍니다. -


- 위의 꽃을 확대해본 것인데 온통 암술머리 뿐이군요. 민들레처럼 많은 낙하산 달린 홀씨를 만들어 날아서 퍼집니다.-


- 강호리라고도 불리는 강활입니다. -

- 위의 강활꽃을 확대해본 것입니다. -


- 바디나물입니다. 마치 참당귀와 흡사한 꽃이 핍니다. -


- 다음으로는 백선잎을 갉아먹는 호랑나비 애벌레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화단에 참나리꽃이 많이 피어 호랑나비가 자주 찾더니만 어느틈에 이곳에다 알까지 깠네요.-


- 그간 잘 먹어 실하게 자란 호랑나비 애벌레군요. 대개는 탱자나무잎에다 알을 잘 까던데 백선잎에 깐 것은 처음 봅니다. -


- 둘이서 사이좋게 갉아먹어 크기도 비슷하네요. 쌍둥이 형제인지도 모르겠고... -


- 두 마리를 돌 위에다 올려놓았는데 서로 먹을 것인 줄 알고 냄새를 맡는 것 같습니다. -


- "어! 이건 돌이잖아. 주인님, 다시 백선잎에다 올려주세요. 앞으론 조금만 먹을께요."
  "저두요." -


- "그래, 너희들도 예쁜 호랑나비가 되어야겠지. 제발 튼튼하게 자라거라."
 저는 두 마리 모두 다 원위치시켜주었습니다. 이런 나비애벌레도 세상을 살아나갈 권리가 있으니 이들의 삶을 제 마음대로 짓밟아선 안 될 것만 같네요.-


- 다시 화단의 야생초들입니다. 이건 고추나물인데 꽃이 금방 져버렸습니다. -


- 다음날 다시 찍은 고추나물의 꽃입니다. 열매가 작은 고추를 닮아 고추나물이라고 하는 것만 같고... -


- 상사화입니다. 겨울에 상록으로 월동하던 잎이 봄에 사라지고 여름에 꽃대만 올라와 이렇게 분홍빛 꽃을 피웁니다. 땅속에 양파처럼 생긴 동그란 구근이 들어있지요.-


- 상사화를 파고드는 줄점팔랑나비입니다. 이 나비는 이제 화단의 터줏대감처럼 눌러앉아 여러가지 꿀맛을 보는 중입니다.-







.........................................................
 우리 님들 즐겁게 감상하셨나요?
 곤충들의 생활을 살펴보는 것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적에게 잡혀먹히지 않기 위해 지혜를 발휘하는데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기도 합니다. 아울러 사랑을 얻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것도 가르쳐주네요. 그러니 곤충들도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될 것만 같습니다.
  우리 님들 모두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추천(1) 스크랩 (0) 인쇄

 화석 2010.08.18  06:52 

참으로 정성이 느껴지는 사진들입니다.
정원과 동물과 식물과 한마음... 웰빙입니다.

 고란초 2010.08.20  16:31 

화석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정원을 자연스럽게 놔두었더니 이렇게 되었네요.
인공적으로 꾸미면 보긴 좋아도 이런 맛이 많이 사라지지요.
화석님,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날 되시길 빕니다.

 탄곡 2010.08.18  11:42 

어린 방아깨비가 거미로부터 구사일생으로 탈출을 한걸 축하해마지 않습니다.
저는 꽃은 꽃대로 곤충은 곤충대로 한 토막씩 올리고 있는데
고란초님은 꽃과 곤충의 생활상을 재미있게 엮어 놓으시는군요.
사진이 해상도가 좋아 더욱 실감이 납니다.
오늘도 즐거운 날 되세요.

 고란초 2010.08.20  16:38 

탄곡님, 방문해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곤충들은 지혜롭게 위기를 탈출하기도 하더군요.
하지만 작은 희생의 댓가를 치루기도 합니다.
저는 시나리오 구상을 미리 해보는데 배우들이 말을 잘 안 들어요.ㅎㅎ
꽃은 좀 덜하지만 곤충은 생각보다는 제가 다루기 힘든 배우입니다.
사진도 아직 서툴러서 더 연습이 필요할 것 같아요.
자꾸 연습하면 좋은 작품도 나올 것 같구요.
탄곡님,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비옵니다.

 고락산성 2010.08.18  20:16 

관찰력이 대단하세요.
잘 보았습니다.
몇일간 계속 농장일로 바쁘게 돌아갑니다.
앞으로도 몇일은 더 걸릴듯합니다.
블로그를 할 시간이 여의치 않군요.
최대한 부지런을 떨어도 흡족한 방문이 되지 못하군요.
편안한 저녘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고란초 2010.08.20  16:45 

산성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사실 저는 조금 깊이 관찰해보고 있습니다.
그래야 뭔가를 배울 것 같고, 알 수 있을 것 같아서요.ㅎㅎ
전 요즘 텃밭 일은 거의 접어두었습니다.
너무 힘들고 무리가 오니 어쩔 수가 없더군요.
또한 날씨도 너무 안 좋아 몸에 해를 줍니다. 속없이 일하다 몇번 혼쭐이 났지요.
정말 님께선 부지런하십니다. 그래도 너무 무리한 일은 해가 되거든요.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빕니다.

 작은악마 2010.08.19  11:59 

애벌레도 가까이서 보니 또 다른 느낌 입니다!!
머리띠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ㅎㅎ

 고란초 2010.08.20  16:50 

작은악마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호랑나비애벌레를 찍었는데 이마에 무슨 글짜가 새겨진 줄 알았어요.
영어 같기도 하고...
그렇군요. 머리띠가 맞을 것 같습니다.
곤충을 접사로 크게 찍으면 저도 모르는 것이 하나씩 나타나 흥겹습니다.
작은악마님께서도 그렇게 한번 담아보시길...ㅎ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날 되시길 비옵니다.

 다영맘 2010.08.20  12:04 

요즈음 무더위 때문에 주말농장 가기를 뜸했더니 저희 주말농장 풀이 완전히 채소밭은 점령을 해 있었답니다.

야생화와 곤충들 어쩜 이리도 사진에 잘 담으셨는지....구경 잘 하고 간답니다.

벌써 주말입니다. 무더위에 건강 유의하시길요

 고란초 2010.08.24  15:19 

다영맘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올해는 너무 더워 텃밭 일을 하기가 겁이 납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잡초에게 점령 당했지요.
영농지에 가더라도 꽃이나 보고 곤충들이나 살펴보다가 옵니다.
곤충들은 사실 사진으로 담기가 힘이 들어요.
자꾸만 움직이고 도망가니 순간 포착이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도 그런대로 보실 만하죠?ㅎ
다영맘님,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날 되시길 비옵니다.

 강화도 2010.08.25  16:53 

고란초님 저도 곤충은 좋아하지만 애벌레는 피해 버립니다. 나중에 이븐 호랑나비가 될망정...
생생한 방아개비 탈축기며 구애에 실패한 거미이야기도 재미있습니다.
무엇보다 바닷가에 피는 보랏빛 순비기곷 정말 아름답습니다.
비오는날 풍경도 좋구요.
오늘도 멋지게 담으신 사진들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이곳엔 오늘 내린비로 더위가 한풀 꺽이는듯합니다.
날마다 좋은날 되시고 건강하셔요.

 고란초 2010.08.26  10:41 

강화도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곤충애벌레는 혐오스럽게 생겨서 여성분들은 피하시더군요.
쐐기만 보면 깜짝 놀라 자빠지는 수도 있더라구요.ㅎㅎ
곤충들의 실제 생활상을 조금씩 보여드리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진으로 담기가 매우 어렵기도 합니다.
순비기나무는 요즘이 한창인 것 같습니다.
작년에 단독주택 정원에서 옮겨심은 것이 살아나 이런 꽃을 보여주네요.ㅎ
오늘도 비가 많이 옵니다.
다소 시원해져 다행이네요.
강화도님,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행복이 넘치는 하루 되시길 비옵니다.

 맑음 2010.09.01  20:26 

비가 내리는 풍경 사진이 참 잘 나온것 같아요.
호랑나비 애벌레 탱자나무 속에 숨어 있어 찾기 했던
기억이 납니다.
여가 때마다 손을 보며 가꾸는 정원과 작은 생물들에 관찰에
마음 휴식이 되어 줄 것 같아요
그래도 직업이 직업이니 나름 멋진 취미를 갖고 할텐데
순박한 농촌에서 보내는 모습이 넘 보기 좋아요.
좋은 분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편안한 저녁시간 되세요..

 고란초 2010.09.03  10:33 

맑음님, 방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호랑나비 애벌레는 탱자나무 잎을 좋아하는 것 같더군요.
백선 잎이 비슷한지 이곳에다 알을 까버려서...ㅎ
사실 영농지에서 텃밭도 가꾸고 화단도 만들어 꽃을 기르면 좋은 것 같아요.
저도 틈틈이 시간을 내어 들러봅니다만 본격적인 영농을 아직 못하고 있지요.
자연과 함께 지내는 시간이 그래도 가장 행복한 것만 같습니다.
맑음님,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행복이 넘치는 하루 되시길 비옵니다.